미·중 무역전쟁 격화, 나스닥 베어마켓 진입, 기술·은행주 폭락

미국 증시, 관세 충격으로 폭락…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고조
미국 뉴욕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관세 발표에 충격을 받으며 폭락했다. 57개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 부과 소식이 예상보다 강력하게 다가오면서 시장은 혼란에 빠졌다. 투자자들은 무역 전쟁 가능성을 우려하며 대규모 매도에 나섰고, 주요 주가지수와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새로운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광범위하고 공격적이어서 시장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증시 급락과 글로벌 반응
뉴욕 증시는 장 초반부터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420.06포인트(3.36%) 하락한 4만805.26을 기록했고, S&P500 지수는 4.01% 하락한 5441.19, 나스닥은 5.17% 떨어진 1만6689.26으로 거래됐다. 애플(-8.61%), 아마존(-6.97%), 엔비디아(-4.72%) 등 주요 기술주도 급락하면서 시장 불안이 더욱 커졌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도 급등해 27을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VIX가 20 미만이면 시장이 안정적이고, 30을 넘으면 변동성이 크다고 평가된다. 이번 수치는 지난달 1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투자자들이 큰 불안을 느끼고 있다는 신호다.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도 타격을 입었다. 한국 코스피는 0.76%, 코스닥은 0.2% 하락했고, 일본 닛케이는 2.77%, 홍콩 항셍지수는 1.52% 하락했다. 이는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시장을 넘어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경고하고 있다. 관세 부과는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고,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물가 상승이 가속화되면서 소비 둔화와 고용 감소, 투자 위축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경제는 이미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이번 조치가 공급망 문제를 악화시키면서 더 큰 물가 상승 압력을 초래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하면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고, 이는 다시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긴박한 다른 국가들도 이번 관세 조치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예를 들어, 중국은 이미 미국의 관세에 맞서 보복 조치를 취해왔고, 유럽연합(EU) 역시 자체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경제는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무역 정책에 큰 영향을 받으며, 각국의 경제는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주가 하락 이상의 문제다.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면 고용 축소와 임금 정체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는 전반적인 경제 성장 둔화로 연결될 수 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도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안전자산으로의 이동과 향후 전망
위험자산에서 벗어나려는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온스당 316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현재도 3100달러 이상에서 거래 중이다. 투자자들이 불확실한 증시보다 금과 같은 안전한 자산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채권 시장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09%포인트 하락한 4.03%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을 피하려고 미 국채를 적극 매입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가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무역 전쟁이 본격화될 경우 기업들의 생산 비용 증가와 소비 둔화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미국과 주요 무역국 간의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따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주가 변동을 넘어 글로벌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신중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의 정책 변화와 시장 반응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것이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무역 전쟁: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미국의 글로벌 전략 (0) | 2025.04.08 |
---|---|
2025 미중 무역전쟁 재개, 글로벌 경제와 증시의 불안정성 (0) | 2025.04.07 |
미국 증시 폭락 : 관세 충격에 금융시장 패닉 (0) | 2025.04.04 |
트럼프, 글로벌 무역전쟁 선포: 한국 포함 57개국에 최대 50% 상호관세 부과 (0) | 2025.04.03 |
美 경제 대격변 : 자동차 관세·금리·주식 시장 흐름 분석 (1) | 2025.03.2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트럼프의 무역 전쟁: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미국의 글로벌 전략
트럼프의 무역 전쟁: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미국의 글로벌 전략
2025.04.08 -
2025 미중 무역전쟁 재개, 글로벌 경제와 증시의 불안정성
2025 미중 무역전쟁 재개, 글로벌 경제와 증시의 불안정성
2025.04.07 -
미국 증시 폭락 : 관세 충격에 금융시장 패닉
미국 증시 폭락 : 관세 충격에 금융시장 패닉
2025.04.04 -
트럼프, 글로벌 무역전쟁 선포: 한국 포함 57개국에 최대 50% 상호관세 부과
트럼프, 글로벌 무역전쟁 선포: 한국 포함 57개국에 최대 50% 상호관세 부과
2025.04.03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